1. 사회과의 성격 및 목표
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2022교육과정으로 초등교육과정은 넘어가고 있다.
이 중에서 기본적으로 사회과가 추구하는 방향성 자체는 다르지 않다.
ㄱ) 시민성 전달로서의 사회과
ㄴ) 사회 과학으로서의 사회과
ㄷ) 반성적 탐구로서의 사회과
3가지를 추구하는 것이다.
즉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알고 를 분석하고 올바른 시민적 가치를 스스로 선택하는 인간을
길러내는 것일 것이다.
사회 생활을 잘 하는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 것.
민주 시민을 길러주는 역할을 돕는 것이 사회교과의 존재 이유일 것이다.
민주 시민이 가져야할 역량으로는 2015교육과정은
(창의적 사고력), (비판적 사고력), (정보 활용능력), (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)(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력)
을 제시한다.
2015는 그렇게 역량을 정했지만, 전통적으로 사회과는
1.지식, 2.기능, 3.가치-태도 의 목표영역을 가진다.
1. 지식
사실 - 개념 - 일반화
각각의 현상 - 일반적 성질 추출 - 상호관계를 표현한 원리
2. 기능
정보화 세계화 속에서 사회 과학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문제 해결력 및 의사결정력이 이에 해당한다.
3.가치 태도
실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니까.
이렇게 까지가 사회과에서 추구하는 방향 및 역량 등이다.
다음으로는
2.사회과의 내용구성
가. 환경 확대법의 탄력적 적용
(3-4) 고장 - 지역사회 - (5-6) 국가 - 세계
이 순서로 가는게 환경 확대법이라면 단지 5-6학년에만 세계를 배우는 건 이상하니까 탄력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뜻으로
탄력적 적용
나.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구성
지리 역사 일반사회(정치 경제 사회 문화 법) 등 사회과의 다양한 영역들을 주제에 따라 통합하는 방법이에요.
통일에 관해서 하면 우리나라의 지리를 이야기하고 남한의 법과 북한은 어떤 법을 쓰는지 등등 이런 식으로 주제 중심으로 교과서를 진행할 수 있죠
다. 교육과정의 지역화
이건 정말 많은 지역에서 지금 하고 있는 사업으로 알고 있습니다. 교육과정에 나의 고향 일산 이런 식으로 교재를 만들거나 자료를 만드는 거에요.
CF) 사회과 교수 학습 방법
-질문 /조사 / 토의 토론 / 논술 / 관찰 및 면담 / 현장 견한과 체험 / 초청 강연/ 실험 / 역할 놀이와 시물레이션 게임 / 모의재판과 모의 국회 / 사회 참여 / 사료 학습 / 제작 학습 / 추체험 학습
각종 지리 정보 시스템 / 신문 활용 교육 / 웹 기반 학습
각종 사회 문제에 대한 시사자료 / 지역 사회 자료 / [경험적 자료]
지도 / 도표 / 영화 / 통계 / 사료 / 신문 . 방송 / 사진 / 기록물 / 디지털 자료 / 여행기
'일상 속 아이들 행동발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 수업에 활용하는 수업 모형 (3) (0) | 2024.02.11 |
---|---|
아이들 사회 교육이 뭘까? (2) (0) | 2024.02.10 |
우리 아이 학교가기 전에 찾아볼 사이트들 (0) | 2023.10.13 |
외국인 아이의 한국어 교육 (1) | 2023.09.12 |
배움이 느린 내 아이 지도 방안 (0) | 2023.09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