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재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상 사회교육은 크게
1) 국토와 우리 생활
2)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
3)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[역사 고조선 - 조선 / 인물(왕건부터 이선게 신사임담 등등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)]
4)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[근현대사 (영조 정조 -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)]
5)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[국회 행정부 법원 등 주요 국가 기관 역할 탐구]
6)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
7) 세계의 여러 나라들 [세계지리(기후, 인간 생활 의식주 인문 요인등) / 지구본 학습 / 이웃나라]
8)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[ NGO, 개인 국가 국제기구 환경문제 지속 가능한 미래 ]
학교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학습 방법
ㄱ ) 개념 학습
1) 속성모형
문제제기 - 속성 제시와 정의 - 속성 검토 - 사례 검토 - 가설 검증 - 개념 분석 - 관련 문제 검토 - 평가 |
속성 검토 - 결정적 속성 / 비결정적 속성 검토
ex) 공공기관의 결정적 속성 ) 공익을 위한 일을 한다 <- 공공기관이면 무조건임
공공기관의 비결정적 속성) 주민들이 공동으로 이용한다. <- 그닥 공공기관이 아니어도 되는 속성임
사례 검토
보건소는 ? - 개념 속성 분석 //
결정적 속성 < 주민 예방접종 어르신 공익을 위한 일을 하는가 O
비결정적 속성 < 대체로 공동으로 이용한다.
소방소는 우리 친구들이 직접 해보자
불을 꺼주면 고마운 사람은 누구지 > 우리 주민이겠지 ? 그런걸 공익이라고 한단다.
공공의 이익이지
백화점은 ?
결정적 속성 <
백화점 장사 잘되면 누가 이익이야 ?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이 이익이겠지 ?
그런 것은 공익이라고 볼 수 없어 그러므로 [공익을 위한 일을 하는가 X]
비결정적 속성 < 공동으로 이용한다 O
>공공기관이 아니다
공익이 무엇인지 어렵지?
다양한 속성을 생각해보자 그럼 지은 사람이 국가면 공공기관이고 아니면 공공기관이 아닌 것을
결정적 속성으로 해볼까?
롯데백화점은 누가 지었어 ? 롯데요 !
주엽동사무소는 ? 주엽동이요 ! 주엽동은 그러면 국가의 것일까? 기업의 것일까?
국가일 것 같아요 / 기업이요 !
이런 복지센터는 주로 국가가 짓는단다.
이런 식으로 다양한 질문에 답하며 사회과학적 지식을 가르치고 예와 비례에 대한 속성에 대한 사례를 검토한다.
순서대로 되면 좋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질문으로 속성검토 - 사례검토가 왔다갔다 한다.
여러가지 예시들을 공부해 보았어
그러면 우리 직접 한 번 우리가 정한 결정적 속성과 비결정적 속성을 잘 정했는지 알아보자
가설검증 단계임
이제 여기까지 잘 구분할 수 있으면 공공기관은 분류할 수 있는 것임. 개념은 학습했다고 볼 수 있음.
이 다음은 이제 공공시설 개념 분석 단계 [도로·공원·철도 등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생활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을 말한다 ] 에 대해도 알아본다.
이 과정에서 사회과 교수학습방법에따라
교사가 준비해도 좋고,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공원을 찾아보거나, 신문을 활용하고,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 같은 다양한 웹 기반 활동을 진행한다.
관련 문제 검토 - 공공시설과 관련된 다양한 신문 및 인터넷을 활용한 조사를 통한 토의 토론 질문 역할놀이 사회참여 등등
평가
2) 원형모형
추상적인 개념을 학습할 때 예시를 많이 제시하는 모형 [원형 = 전형적 사례]
문제제기 - 개념의 원형과 정의 제시 - 비례 제시 - 속성 검토 - 개념 분석 - 관련 문제 검토 - 평가 |
문제제기 - 독재자가 일방적으로 법을 집행하고 (누가 기침소리를 내었어 ?) 자료들로 흥미 끔
개념의 원형과 정의 제시
- 기침소리를 내었다고 죽이면 이게 민주주의야 얘들아 ?
다양한 민주주의의 원형[예시]을 알아보자
= 투표, 다수결로 정하기, 돌아가며 청소하기, 점수를 얻어서 자리바꾸기 포인트를 얻기 등등
개념 정의 제시
그럼 각자가 외압 없이 서로 최대한 모두에게 좋게 의사결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게 민주주의지 ?
오케이 일단 그럼 민주주의가 뭔지 우리는 개념을 알아봤어 이 다음엔 이제
비례제시
= 투표를 했는데 묵살되는 경우 (장충동 투표 등 여러 근현대 예시 있음)
= 그러면 기침소리를 내었다고 죽이는건 민주주의야 ?
= 문화 대혁명 등등 여러가지 자극적이고 재밌는 비례는 너무 많음
이러면 안되겠지 ?
속성 검토 [ 결정적 속성/ 비결정적 속성 ]
그러면 민주주의의 속성(기준?)을 알아보자
-결정적 속성 ) 다수결 ? / 모두 참여해야함 / 의사 결정을 현명하게 해야함 / 폭력 X 외압 없이 자신의 결정대로 함
-비결정적 속성 )
투표를 한다고 모두 민주주의는 아님 묵살 가능함
무조건 중대사인건 아님 개인이 무엇을 할지 정할 때도 민주주의적으로 정할 수 있음.
공익이 아닌 그냥 우리 학급의 즐거운 게임 정하기에서도 민주주의는 일어날 수 있음 등등
개념 분석
관련 문제 검토
평가
'일상 속 아이들 행동발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학년의 시작 우리 아이는 사회시간에 무엇을 배울까? (1) | 2024.02.12 |
---|---|
사회 수업에 활용하는 수업 모형 (3) (0) | 2024.02.11 |
초등 사회과 교육 (1) | 2024.02.09 |
우리 아이 학교가기 전에 찾아볼 사이트들 (0) | 2023.10.13 |
외국인 아이의 한국어 교육 (1) | 2023.09.12 |